접근.문화 가이드

  • 접근.문화

우리 대학에는 장애를 가진 구성원이 있습니다.
행사 개최 시 장애를 가진 구성원을 포함한 모든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음의 안내에 따라 접근성을 확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
1. 행사 계획 단계부터 접근성을 고려합니다.
행사 계획 시 장애인 당사자 혹은 장애 관련 전문가와 함께합니다.
행사 예산에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을 포함합니다.
(예: 보조기기나 지원인력 등에 소요되는 예산을 미리 확보합니다.)
2. 행사의 접근성 담당자를 지정합니다.
접근성 담당자는 장애인 참석자와의 의사소통을 담당합니다.
접근성 담당자는 장애인 참석자에게 필요한 지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합니다.
(예: 보조기기나 지원인력 등이 필요한 경우 미리 확보합니다.)
3. 행사 일시를 정할 때에는 시작 및 종료 시간, 전체 및 휴식 시간 등을 고려합니다.
(예: 너무 이른 시간에 시작하거나 너무 늦은 시간에 종료하는 경우 타인의 보조를 받거나 (특별)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전체 시간이 너무 길거나 휴식 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 극심한 피로를 느낄 수 있습니다.)
4. 행사 장소를 정할 때에는 장애인 편의시설을 고려하고, 사전 답사합니다.
(예: 출입구, 승강기, 화장실, 주차구역, 교통편, 전용석 등을 확인합니다.)
5. 행사 홍보 및 문의와 관련하여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, 접근성 사항을 명시합니다.
행사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홍보합니다.
(예: 포스터 이미지로만 홍보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이 접근할 수 없습니다.)
행사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문의할 수 있도록 합니다.
(예: 전화 문의만 가능한 경우 청각장애인이 접근할 수 없습니다.)
행사에 대한 홍보 시 장애인 접근성 사항을 명시합니다.
행사 참석자 조사 양식에 접근성 사항을 포함하여 조사합니다.
6. 행사에서 배포하는 모든 자료(발표 자료 포함)를 다양한 포맷으로 가능한 한 사전에 제공합니다.
(예: 시각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전자(digital) 자료, 확대 자료, 점자 자료 등으로 배포합니다.)
7. 발표자에게 발표 자료를 만들고, 발표할 때 장애인 접근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.
발표 자료의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고, 발표 시 말로 설명합니다.
발표 시 마이크를 사용하고, 적당한 속도와 명확한 발음으로 말합니다.
8. 음식을 제공하는 경우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, 다양한 음식을 제공합니다.
(예: 알레르기 유발 성분을 표시합니다. 채식 음식을 제공합니다.)
9. 비상시 피난·대피로의 접근성을 고려합니다.
(예: 비상 상황을 시·청각적으로 안내합니다.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피난·대피 가능한 방법을 계획합니다.)